본문 바로가기

연재칼럼/세푼칼럼

'메멘토 모리'와 종심(從心)


칼럼_연재칼럼_세푼칼럼

 


'메멘토 모리'와 종심(從心)

  

"Holy sprit comes to me, speaking words of wisdom 'Memento Mori'..."

 

스스로 '영적인 일'과 '육적인 일'로 내적 갈등을 겪고 있던 지난 주 어느 날 새벽 기도 중 제게 일어났던 일입니다.


모두 잘 알고 있듯이 'Memento Mori (네가 죽는 다는 것을 기억하라!)'는 고대 로마에서 유래 된 경구(警句)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대 제국을 건설한 로마의 장군들이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 오면 성대한 환영의 의미로 개선식을 열어 주었는데 승전의 기쁨과 수 많은 군중들의 환호 속에서 자칫 거만해 질 수 있는 장군을 위해 부하, 노예를 시켜 장군이 들을 수 있도록 그의 곁에서 외치도록 했던 말입니다.

 

신앙인의 관점으로 해석하자면 '곧 사라질 육적인 일에 빠지지 말고 오직 영적인 것을 구하라'정도로 풀이 될 수 있겠으나, 그 날 새벽에 제가 깨달은 바는 네가 죽는 다는 것을 기억하고 '육도 영도 미련도 후회도 없이 살아야 한다'였으니 기존의 제가 알던 'Memento Mori'와는 사뭇 다른 느낌으로 와 닿았습니다.

 

그리고 듣게 된 주일 말씀.
"하나님의 축복은 ‘짝의 축복’입니다. '육적 축복’과 ‘영적 축복’ 두 가지 축복을 뜻합니다.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합당하다면 ‘양면성 축복, 짝의 축복’을 주신다"는 정명석 목사님의 말씀을 듣게 된 것입니다.

 

아브라함이 이 축복을 받은 대표적 인물로 그는 환경, 여건을 다 떠나서 어디를 가든지 '영'과 '육' 두 세계에 해당 되는 모든‘복’을 받았다고 하셨습니다. 이 축복은 그야말로 하나님께서만이 주실 수 있는 고유한 축복임으로 문제는 내가 과연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한 삶을 살고 있느냐를 깊이 생각해 봐야 하는 것입니다.

 

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한 삶이란 영원하신 하나님을 사랑하고, 삼위의 사랑의 짝이 되어 사는 것 이라 하셨습니다. 이렇게 되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벗어나지 않는 삶으로 안정화 된 차원에 오른 삶이 되는 것입니다.

 

논어(論語)에 공자(孔子)가 "나이 일흔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를 넘어서거나 어긋나지 않았다(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)."고 한 데서 유래한 말이 종심(從心)입니다.
'종심'은 마음 내키는 대로, 마음이 원하는 대로 해도 더 이상 어떤 규율이나 법도를 벗어나지 않았다는 말이니 유교(儒敎)에서 말하는 '성인(聖人)'의 경지를 일컫는 말입니다. 영원하신 하나님을 사랑하고, 삼위의 사랑의 짝이 되어 산다면, 즉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한 삶을 살게 된다면 이것이야말로 '종심'의 경지이며 '육'도'영'도 축복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되는 차원일 것입니다.

 

필자가 보기에 많은 기독교인들이 꿈꾸는 '휴거'된 삶이 이에 가까워 보입니다.

 

사실 어느 때 부터인가 '휴거'라는 용어는 기독교 내에서도 금기시 된 감이 없지 않아있습니다. '휴거'는 어느 한 날 몸이 하늘로 붕 치솟아오른는다는 이해하기 힘든 그 부분만 뺀다면 성경과 논어 외에 불경, 중용, 매슬로우의 이론에까지 제가 언뜻 떠 올릴 수 있는 출처만도 수 십 군데도 넘는 곳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 개념입니다. 동서고금(東西古今) 모든 곳에 있는 보편적 진리로서의 '휴거'가 왜 이렇게 금기시 되었는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. 사람들이 휴거에 도달할 수 있게 할 방법을 알지 못 하고 있으니 언급조차 위험한 단어로 만들어 버린 것은 아닌지...


'영'과 '육'의 축복이 균형을 이룬, 마음 내키는 대로 해도 하나님의 뜻을 벗어 나지 않는 그런 삶 , 혹 그 길(聖人之道)을 아는 사람이 있다면 말 그대로 '모든 곳에 있는 보편적 진리'가 되도록 힘써 외쳐야 할 그런 개념일 것입니다.